분류 전체보기

    [Django] admin 계정 생성

    [Django] admin 계정 생성

    api까지 잘 만들고 난 뒤 admin 페이지를 들어가 봤더니 아무것도 없어서 당황한 김에 정리해보는 글 1. 슈퍼 유저 생성 - admin 페이지를 접속할 수 있는 계정 python manage.py createsuperuser 사용자 이름 , 이메일,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해주면 계정이 생성된다. -1) 비밀번호 초기화 python manage.py changepassword admin 2. 로컬 서버 실행 및 접속 python manage.py runserver http://127.0.0.1:8000/admin/ : 으로 접속 3.admin 페이지에 모델 등록 #admin.py from django.contrib import admin from api.models import * # Regist..

    [Django] related_name 설정

    [Django] related_name 설정

    related_name은 장고 ORM모델을 위한 것이며, ORM모델은 쿼리문 없이 장고에서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기 위한 것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나"를 ForeignKey로 가지는 모델을 굳이 쿼리 조회 없이 쉽게 가져올 수 있게 하기 위한 장치이다. related_name이란 이름을 가진 포인터로 "나"라는 모델에 "나를 ForeignKey로 가지는" 모델이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참조해준 객체 입장에서 설정을 해 줘야 하는 것이다. 예시 코드 class Post(BaseModel): user = models.ForeignKey('User', related_name='user') user = models.ForeignKey('User', related_name='post') 전자는 user.use..

    [React] 부모에서 자식, 자식에서 부모 값 전달하는 방법

    [React] 부모에서 자식, 자식에서 부모 값 전달하는 방법

    리엑트를 쓰다 보니 부모에서 자식으로 값을 전달할 일이 많았다. 이때에는 props를 통해 전달하면 되었지만 반대로 자식에서 부모로 전달하는 방법은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찾아보던 중 알게 된 김에 포스팅을 해보고자 한다. 1. 부모에서 자식으로 값을 전달 props 란?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값을 전달하는 수단 -하위 컴포넌트에서 상위 컴포넌트가 전달 한 값에 접근 가능 하게 함 -반대로는 불가능 ::상위 컴포넌트 import Reac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import Reviews from './Sections/Reviews'; const StoreDetail = () => { ); }; export default StoreDetail;..

    [React] 함수형 컴포넌트 생명주기

    [React] 함수형 컴포넌트 생명주기

    리엑트는 클래스형과 함수형으로 컴포넌트를 생성할 수 있으나 함축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함수형 컴포넌트를 사용한다. 하지만 함수형 컴포넌트는 생명주기를 별도로 구현해야 한다는 점이 유일한 단점인데 이도 React Hook의 useEffect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번에는 생명주기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useEffect useEffect(() => { //코드 }) : 모든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될 때마다 실행 componentDidMount() useEffect(() => { //코드 },[]) : 한번만 실행 componentDidUpdate() & getDerivedStateFromProps() useEffect(() => { //코드 },[props 및 state 명 (, 여..

    [React/JavaScript] Promise 값 가져오기

    [React/JavaScript] Promise 값 가져오기

    리엑트로 프론트를 작업하던 중 특정 데이터를 호출하여 띄워주려고 하는데, 자꾸 에러가 떠 콘솔로 확인을 해보니 이러한 형식으로 데이터가 나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Promise가 무엇인지 여기서 Result에서 데이터만 뽑아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적어보고자 한다. 1. Promise 란? Promise는 비동기 작업의 단위 이자 비동기 처리에 사용되는 객체이다. 여기서 비동기 처리란? 특정 로직의 실행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주지 않고 나머지 코드를 먼저 실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화면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요청했을 때 서버에서 응답을 주지 않는다고 해서 기다리기만 한다면 엄청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그리하여 미리 나머지 코드를 실행 후 응답이 오면 실행을 완료해주는 것이다. -1) Prom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