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리프
![[SpringBoot] Thymleaf css, js 파일 추가 및 사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OwS5J%2FbtrIiKALc9Z%2FJZJwH9Bv4M4PD1Zvu6Jcy0%2Fimg.png)
[SpringBoot] Thymleaf css, js 파일 추가 및 사용법
타임리프를 처음 공부하다 아주 생쇼.. 보니 타임리프에서 css와 js를 사용할 줄을 몰랐다. 여러 가지를 찾다 보니 해결방법을 찾아서 정리해본다. 1. 디렉토리 구성 src/main 하위에 있는 resources 파일 안 static 폴더에 css와 js 폴더를 각각 만들어준다. 해당 폴더 안에 각각의 형식을 가진 파일을 생성하여 추가하면 된다. 2. html 파일에서 사용법 -1) css -2) js 끝!
![[SpringBoot] 스프링부트에서 Thymeleaf 와 JSP 같이 쓰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qwtgD%2FbtrH1A66JfT%2FCbhJ9H2zmaO3RZSbCDh9I0%2Fimg.png)
[SpringBoot] 스프링부트에서 Thymeleaf 와 JSP 같이 쓰기
※ JSP 사용 설정 이전 게시글 참고 이번에는 스프링 부트에서 JSP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타임리프도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기록해본다. 필자는 파일 생성 시에 타임리프를 설정해주었다. 1. application 파일 설정 #application.yml spring: thymeleaf: cache: false prefix: classpath:/templates/ suffix: .html view-names: thymeleaf/* 2. 폴더 구성 resource/templates 안에 thymleaf폴더를 생성해준 뒤 이 안에 원하는 html 파일을 생성해주면 된다. 3. 컨트롤러 설정 return에 thymleaf를 명시해줌으로써 해당 폴더의 address파일을 띄워준다. 4. 최종 구성 spr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