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
![[SpringBoot] Jpa Repository와 Querydsl 사용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Wgo1c%2FbtrKhSpba00%2Fw1i6KeiY7AifcR9fuiZhkK%2Fimg.png)
[SpringBoot] Jpa Repository와 Querydsl 사용방법
※ springBoot에 Querydsl설정 방법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 참조! 2022.08.06 - [기술/Spring] - [SpringBoot] Querydsl 설정 Querydsl 사용방법 3가지 QuerydslRepositorySupport와 JpaRepository 각각 사용 JpaRepository에서 Querydsl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사용 상속 없이 Querydsl 사용 1. QuerydslRepositorySupport, JpaRepository 각각 사용 @Repository public class ReviewRepositorySupport extends QuerydslRepositorySupport { private final JPAQueryFactory jpaQueryFac..
![[SpringBoot] Querydsl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0LDzq%2FbtrI2YEwB8B%2FdaK5lJj7KQ3hbB6Ck4qLF1%2Fimg.png)
[SpringBoot] Querydsl 설정
jpa에서 제공하는 @Query로는 다양한 조건으로 조회를 하는데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적 타입을 지원하는 조회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데 Querydsl이 유명한 조회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이를 적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해 보고자 한다. 개발환경: inteliJ Spring Boot 2.7.1 Gradle Lombok 1. Gradle 설정 buildscript { ext { queryDslVersion = "5.0.0" } } plugins { ... //querydsl 추가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 id 'java' } dependencies { ...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
![[SpringBoot] Thymleaf css, js 파일 추가 및 사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OwS5J%2FbtrIiKALc9Z%2FJZJwH9Bv4M4PD1Zvu6Jcy0%2Fimg.png)
[SpringBoot] Thymleaf css, js 파일 추가 및 사용법
타임리프를 처음 공부하다 아주 생쇼.. 보니 타임리프에서 css와 js를 사용할 줄을 몰랐다. 여러 가지를 찾다 보니 해결방법을 찾아서 정리해본다. 1. 디렉토리 구성 src/main 하위에 있는 resources 파일 안 static 폴더에 css와 js 폴더를 각각 만들어준다. 해당 폴더 안에 각각의 형식을 가진 파일을 생성하여 추가하면 된다. 2. html 파일에서 사용법 -1) css -2) js 끝!